본문 바로가기
뉴스 정보

모두의질문Q큐 홈페이지 바로가기

by ddubee 2025. 2. 8.
300x250
반응형

더불어민주당이 당 싱크탱크 민주연구원 산하의 정책소통플랫폼인 모두의질문Q(큐)를 공개했습니다. 플랫폼 결과물은 향후 조기 대선이 실시될 경우 공약에 활용된다고 합니다. 그럼 모두의질문Q큐 홈페이지 바로가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모두의질문Q큐 개요
2. 모두의질문Q큐 홈페이지 바로가기


1. 모두의질문Q큐 개요

모두의 질문Q큐는 일반 시민부터 전문가까지 국민들의 집단 지성을 바탕으로 사회 문제의 해법을 찾고 하향식이 아닌 상향식 정책 행보를 위한 정책 소통 플랫폼입니다.
이를 위해 민주연구원에서 제작한 홈페이지는 물론 유튜브, 인스타그램, 커뮤니티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모두의질문Q 홈페이지 바로가기


국민들이 문제의식을 담은 질문을 게시판과 각종 커뮤니티 등에 올리면 이와 관련된 토론을 진행하고, 일반 시민과 전문가의 인터뷰를 올려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당 소속 의원 전원이 프로젝트에 참여해, 국회 상임위별로 책임 의원을 두고 관련 분야의 질문을 점검해 공론화와 입법 등을 검토하도록 했습니다.

센터는 양대 노총과 대한상공회의소, 벤처기업협회 등 각종 단체 1만여 곳에도 사회적 과제에 대한 질문을 해달라고 요청할 방침입니다.
3월 말까지 취합한 각계의 질문과 의견을 망라해 4월 초쯤 녹서도 발간할 예정입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모두의질문Q 출범식에서 국민이 직접 지배하는 나라로 최대한 바꿔야 하고, 직접 민주주의가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면서 국민 집단지성이 정치를 실제 만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재명 대표는 성남시장 당시 경험을 회상해 시민들의불만을 없애야 되고 그 민원을 없애기로 마음먹었다며 시장이 언제 간담회에 오니 아무나 와서 하고 싶은 말을 하라고 했고 1개 동에 500명, 1천 명 가까이 왔고, 성남시 민원이 거의 없어져 버렸다고 했습니다.

질문과 불만을 넘어서서 더 포지티브한 질문까지 모아낼 수 있다면 이게 사회를 혁명적으로 바꿀 수 있을 거라고 본다며 정말 좋은 생각이고 우리가 해야 될 일들이라고 했습니다.
실패 가능성이 높아진 대왕고래 프로젝트와 관련해서는 인공지능 연구를 위해 GPU 최고급 사양 3000장을 살 수 있는 돈을 대왕 사기시추 한 번 하는데 다 털어넣은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아울러 계엄·탄핵 정국과 관련해서는 빛의 혁명을 이루어가는 중이고 이제는 그 빛이 촛불이 아니라 응원봉으로 영원히 꺼지지 않는 빛이 되어 가고 있다며 이 나라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언제나 힘없는 다수의 백성들이 나서서, 국민들이 나서서 그 위기를 극복했다고 했습니다.

2. 모두의질문Q큐 홈페이지 바로가기

모두의 질문Q는 홈페이지의 질문Q 게시판을 통해 시민 사회 문제에 대한 질문을 게시할 수 있습니다.
토론Q 게시판에서는 질문 게시판에 게시된 질문에 대한 토론을 할 수 있으며 인터뷰Q 게시판에서는 시민과 전문가의 인터뷰가 게시됩니다.

모두의질문Q 홈페이지 바로가기


홈페이지 뿐 아니라 관련 유튜브 채널과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서도 소통이 가능합니다.


모두의질문 유튜브 바로가기


민주연구원은 시민의 집단지성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가 직면한 과제를 공론화해, 이를 풀어나갈 기회의 창을 열기 위해 모두의 질문Q를 마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수집된 질문은 녹서로 담아내 범주별로 묶어 공개할 예정입니다. 녹서(Green Paper)란 영연방에서 사용하는 임시적 자문용 공문서를 가리킵니다. 정부 등 기관이 실제로 녹서에 담긴 정책을 시행하지는 않지만, 정책 변화를 위한 첫 단계로 활용돼 추후 백서(White Paper, 공식 종합 보고서)에 담기기도 합니다.

녹서 발간 시기는 오는 4월이며 민주당은 단순하게 의견을 모으는 기능을 넘어 소속 의원들을 국회 상임위원회별로 1명씩 질문Q레이터로 배치하기로 했습니다. 질문의 내용을 파악하고, 공론화 과정을 지켜본 후 입법으로 이어가겠다는 계획입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성남시장을 지내던 시절 주민들의 민원을 직접 접수하면서 녹서를 만들었던 것이 인기 있던 시장이 된 비결이라며 모두의 질문Q를 격려했습니다.

다만 민주연구원은 이번 프로젝트가 대선용 정책행보라는 해석에 대해서는 집단지성을 모아 더 좋은 대한민국의 청사진을 그려보자는 것으로 지난해 총선을 기점으로 본격화된 프로젝트라며 상당 기간에 걸쳐 추진된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모두의질문Q큐 홈페이지 바로가기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