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정보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 가입 신청 방법 바로가기

by ddubee 2024. 9. 30.
300x250
반응형

보이스피싱이나 명의도용 등 불법대출 피해 예방을 위한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가 9월 30일부터 인터넷전문은행으로 확대됩니다. 이용자가 이 서비스에 가입하면 금융권의 신규여신거래가 실시간으로 차단돼 본인도 모르는 사이 실행되는 등의 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 가입 신청 방법 바로가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 개요
2.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 가입 신청 방법


1.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 개요

모바일청첩장 문자메시지를 받고 인터넷주소를 눌렀다가 휴대폰에 악성앱이 설치되어 피해를 본 분들이 많습니다. 범죄조직은 악성앱을 통해 빼낸 이분들의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예금 해지를 통해 돈을 출금했지만 당사자들은 며칠이 지난 뒤에야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금융당국에서는 위와 같은 일이 일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9월 30일부터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 그리고 케이뱅크 이용 고객들이 비대면으로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란 이용자가 본인도 모르는 사이 실행된 금융 신청으로 인한 금전피해를 입지 않도록 개인의 신규 여신거래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서비스를 뜻합니다.


이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하면 은행, 금융투자, 보험, 여신전문, 저축은행뿐 아니라 상호금융인 농협, 수협, 신협, 산림조합 및 우정사업본부를 포함한 4012개 금융회사(단위조합 포함)에서 여신거래가 실시간 차단됩니다.
개인정보 탈취 및 명의도용에 따른 피해가 우려되는 경우에도 서비스에 가입해 보이스피싱 등의 피해를 사전에 막을 수 있게 됩니다.


금융위원회는 향후 금융·운용리스 상품에 대한 차단도 적용하고, 연내에 이용 고객이 많은 시중은행과 카드사를 중심으로 비대면 안심차단 신청 채널을 단계적으로 확대, 서비스 접근성을 제고할 방침입니다.

거동이 불편한 고령층 등을 위해 임의대리인을 통한 안심차단 신청을 허용해 달라는 금융소비자들의 의견도 반영할 예정입니다.


현재 금융소비자 본인 및 법정대리인에 의해서만 신청이 가능한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를 적법한 위임을 받은 임의대리인인 가족 등을 통해서도 신청이 가능하도록 신속하게 제도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했습니다.

금융당국은 지난 8월 23일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시행 후 한달 동안 8만9817명의 금융소비자가 가입했다고 했습니다.
연령대별 가입현황은 60대 이상 고령층의 서비스 가입률이 전체 가입자의 62%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는 고령층이 명의도용 등에 따른 보이스피싱 피해 우려는 비교적 높은 점이 반영된 것입니다.

하지만 20~30대의 서비스 가입률은 낮은 편으로 금융사 방문신청만 가능했던 기존의 대면 가입방식 등이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권별로는 은행(66%)과 상호금융기관(25%)을 통해 이뤄지고 있습니다. 전국적인 영업망을 보유한 은행 등을 통한 가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 가입 신청 방법

거래중인 금융회사의 영업점을 방문하여 본인 확인 후 여신거래 안심차단을 신청합니다.
은행, 저축은행, 농협수협, 새마을금고, 신협, 산림조합, 우체국 등 > 이용자 본인 및 법정대리인에 한하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안심 차단 신청을 하면 즉시 금융권의 신규 여신거래 차단이 됩니다.
신청 여부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한국신용정보원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여신거래안심서비스 조회 바로가기


비대면 신청
9월 30일부터는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케이뱅크 이용 고객들이 비대면으로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뱅크 신청 바로가기

신청 방법
웹 우측 하단 전체 > 금융보안 > 여신거래 안심차단

토스뱅크 신청 바로가기

신청 방법
토스뱅크 설정 > 계좌 > 여신거래 안심차단 설정


글을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여신거래안심차단서비스 가입 신청 방법 바로가기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